자녀의 학습 동기를 높이려면 부모의 말 습관이 매우 중요합니다. 단순한 칭찬이나 지시보다는 스스로 공부하고자 하는 의욕이 생길 수 있도록 자율성과 성취감을 자극하는 대화법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부모의 말 습관을 8가지로 구분해 보았고 저의 경험과 함께 정리 해 보았습니다.
1. "결과"보다 "과정"을 칭찬하기
💬 잘못된 예: “시험 100점 맞았네! 최고야.”
✅ 좋은 예: “이번에 시험 준비를 정말 성실하게 했구나! 계획대로 실천한 게 효과가 있었나 봐.”
👉 핵심:
- 성적보다 노력, 전략, 태도에 초점을 맞춘 칭찬이 장기적으로 동기를 높임.
- "네가 노력한 만큼 좋은 결과가 나왔구나"라고 과정 중심 피드백을 주면 자기주도 학습이 강화됨
저는 실제로 아이에게 이런 말을 자주 합니다.
"성적은 기대만큼 나오진 않았지만, 네가 얼마나 노력했는지 엄마가 알기 때문에 그것만으로도 너무 대견해"
2. 비교 대신 성장 강조하기
💬 잘못된 예: “네 친구 ○○는 벌써 다 끝냈대.”
✅ 좋은 예: “지난번보다 더 정확하게 문제를 푸네! 네가 발전하는 게 보여.”
👉 핵심:
- 타인과 비교하면 학습 동기가 오히려 떨어짐.
- 과거의 자신과 비교하면서 **“조금씩 성장하는 과정”**을 인식하게 해줘야 함.
저는 실제로 아이에게 이런 말을 자주 합니다.
"처음부터 잘하지 못해도 괜찮아. 지금처럼 조금씩 성장하고 나아지는 것도 너의 능력이야! 정말 대단해"
3. 구체적인 피드백을 주기
💬 잘못된 예: “너는 참 똑똑하구나.”
✅ 좋은 예: “이번엔 문제를 논리적으로 푼 게 인상적이야! 특히 이 부분을 어떻게 접근했는지 설명해 줄래?”
👉 핵심:
- 추상적인 칭찬보다 구체적으로 어떤 점이 좋았는지 언급하면 자기 효능감이 상승함.
- 아이가 스스로 어떤 방법이 효과적인지 인식하도록 유도할 수 있음.
저는 실제로 아이에게 이런 말을 자주 합니다.
"틀린 문제를 끝까지 스스로 고쳐보고 알 때까지 질문하는 것, 이것이 진짜 자기주도학습이고 네 것이 되는 과정이야. 너무 잘하고 있어!!"
4. “해야 한다” 대신 “할 수 있다”로 말하기
💬 잘못된 예: “숙제 빨리 해라.”
✅ 좋은 예: “숙제를 언제 할 건지 계획을 세워볼까?”
👉 핵심:
- 자율성을 존중하는 질문형 대화가 더 효과적임.
- 아이가 주도적으로 선택하게 만들면 내적 동기가 높아짐.
저는 실제로 아이에게 이런 말을 자주 합니다.
" 수학숙제는 얼마나 걸릴까? 오늘 주어진 시간은 얼마나 돼?" 항상 이렇게 질문하고 유도했더니 이제는 스스로 플래너부터 쓰고 시작하네요.
5. 실패에 대한 긍정적인 프레임 만들기
💬 잘못된 예: “왜 틀렸어? 집중 안 했지?”
✅ 좋은 예: “이 문제 어려웠구나. 어떤 부분에서 헷갈렸어? 다음엔 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을까?”
👉 핵심:
- 실패를 성장의 기회로 바라보게 하면 아이가 도전 의식을 가질 수 있음.
- 틀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배우는 것이 많다는 점을 강조.
저는 실제로 아이에게 이런 말을 자주 합니다.
"이 문제는 왜 계속 틀리는 거 같아? 개념을 이해가 부족해? 계산오류가 있었어? 그럼 개념을 확실히 기억하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 거 같아?"
6. 학습을 생활과 연결하기
💬 잘못된 예: “이건 그냥 외워.”
✅ 좋은 예: “이 개념, 우리가 전에 갔던 박물관에서 본 거랑 비슷하지 않아?”
👉 핵심:
- 학습이 실생활과 연결될수록 흥미와 기억력이 향상됨.
- 아이가 좋아하는 관심사(영화, 스포츠, 게임 등)와 연결해 설명하면 더 효과적.
저는 실제로 아이에게 이런 말을 자주 합니다.
"계란을 삶을 때 천정에 물방울이 맺히는 원리와 동일 한가보다"
"hoarse하면 떠오르는 거 없어? 목이 쉰이란 뜻 이래.. 그래서 목 아플 때 먹는 사탕 이름이 호올스인가 보다"
7. 동기를 높이는 질문 던지기
💡 부모가 질문하는 방식만 바꿔도 학습 태도가 달라짐.
❌ 일방적 지시: “책 좀 읽어라.”
✅ 질문형 접근:
- “이 책을 읽으면 너한테 어떤 도움이 될까?”
- “이 주제에 대해 네 생각은 어때?”
- “오늘 배운 것 중 가장 재미있었던 건 뭐야?”
저는 실제로 아이에게 이런 말을 자주 합니다.
"최근 관심이 생긴 분야가 있을까? 최근 이런 얘기 들어본 적 있어?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거 같아? 너라면 어떻게 할 거 같아?"
👉 핵심:
- 스스로 동기를 찾도록 유도하는 질문 중심 대화가 효과적.
- 학습을 의무가 아닌 흥미로운 탐구 과정으로 인식하게 해야 함.
8. 학습이 아닌 "목표"를 칭찬하기
💬 잘못된 예: “공부 열심히 했네.”
✅ 좋은 예: “오늘 목표한 것 중에 뭐를 이루었어? 계획대로 잘 됐어?”
👉 핵심:
- 공부 자체보다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과정을 인정해 주면 자기 주도성이 강화됨.
- “목표를 이루는 과정이 재미있다”는 인식을 심어줌.
저는 실제로 아이에게 이런 말을 자주 합니다.
"머리가 복잡할 때는 정리가 되지 않아서 그래. 일단 적어보자. 그리고 오늘 목표 한 일만 다 하면 너는 마음이 개운할 거야."
📌 마무리: 부모의 말 습관이 바뀌면 아이의 학습 태도가 달라진다!
✔ 결과보다 과정 칭찬하기
✔ 비교 대신 성장 강조하기
✔ 구체적인 피드백 주기
✔ 강요보다 자율성 존중하기
✔ 실패를 긍정적인 경험으로 만들기
✔ 학습을 실생활과 연결하기
✔ 질문을 활용해 동기 유발하기
✔ 목표 설정과 실행력을 칭찬하기
👉 이런 말 습관이 쌓이면 아이는 자기주도적으로 공부하는 태도를 형성하게 됩니다.
실제로 저는 이런 대화를 오랜 시간 꾸준히 이어왔더니 저의 칭찬과 대화 속에 담겨 있던 학습태도나 습관이 자연스럽게 잘 잡혀 있는 아이를 발견했습니다. 여러분도 오늘부터 바로 실천해 보세요. 응원합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 영어 1등급 전략! 절대평가 대비법 5가지” (0) | 2025.03.17 |
---|---|
비문학 독해력 키우는 법! 국어 1등급 학생들의 독서 습관 5가지 (0) | 2025.03.16 |
특목 자사고 입학을 위한 중학교 생기부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지 한방에 정리 (0) | 2025.03.13 |
고등수학 난이도 별 교재 특징!! 제대로 고르기!! (0) | 2025.03.13 |
독서논술..얼마나 더 중요해지는 걸까 (1) | 2025.03.07 |